24년 2월 기획2 썸네일

신나는 예술 놀이터를 꿈꾼다 – 인천한누리학교 문화예술교육 – 정평한

> 기획 신나는 예술 놀이터를 꿈꾼다 인천한누리학교 문화예술교육 정평한 아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인천에는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공립형 대안학교가 있다. 2013년에 개교를 하였으니 10년이 살짝 넘는다. 역사도 짧고 학교 규모도 고만고만해서 하물며 교사들도 그런 학교가 있었냐고 의아해한다.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이 지금은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개교 당시에는 괜한 곳에 낭비했다고 손가락질을 꽤 받은 모양이다. 지난해…

24년 2월 리뷰2 썸네일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것들에 대한 탐구 – 이상실 소설집 『죽음의 시』 (삶창, 2023) – 양재훈

> 리뷰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것들에 대한 탐구 이상실 소설집『죽음의 시』 (삶창, 2023) 양재훈 『죽음의 시』는 인천에서 꾸준히 활동해온 소설가 이상실의 신간 소설집이다. 늘 그래왔듯 이번 소설집에도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집요한 탐구와 문제 제기가 담겨 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것은 불안한 노동 현실과 해결되지 않은 역사적 상처, 사회적 책임이 분명한…

24년 2월 기획3 썸네일

함께 해서 더 즐거운, 다음에 또 하고 싶은 – 학산마당극놀래 음악극 <슬기로운 관악부 생활> – 박우찬

> 기획 함께 해서 더 즐거운, 다음에 또 하고 싶은 학산마당극놀래 음악극 <슬기로운 관악부 생활> 박우찬 저는 2023년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이하, 인천기계공고)에 입학하여 학교 동아리 관악부에 들어가 악기를 연주하게 되었습니다. 인천기계공고는 1940년에 개교하여 올해로 개교 83년이 되었고, 관악부는 1946년에 창설되어 역사와 전통이 아주 오래된 연주 동아리입니다. 관악부에서 제가 맡은 파트는 트럼펫입니다. 관악부 연주사진 ⓒ박우찬 관악부 생활에 적응하는…

24년 2월 리뷰3 썸네일

부조리, 인간 그 너머를 향하여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오원배 개인전 <부유/현실/기록> – 김연희

> 리뷰 부조리, 인간 그 너머를 향하여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오원배 개인전 <부유/현실/기록> 김연희 1. 부조리, 개항이라는 환경에 던져진 존재 인간 실존의 문제를 일관된 작업 주제로 진행해 온 오원배(吳元培, 1953~) 작가가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전시 중이다. (인천아트플랫폼, 2023.10.7.~2024.3.3.) 인천에서 출생했으며, 한국과 프랑스에서 회화를 전공한 예술가로 성장한 작가에게 개항지로서의 인천은 작업의 모티브이자 부조리한…

24년 2월 리뷰4 썸네일

아빠도 예전에 어린이였어! 놀이가 가장 필요한 순간 전시 <우당탕탕 아빠가 만든 놀이터> 시즌 2 – 김규혁

> 리뷰 아빠도 예전에 어린이였어! 놀이가 가장 필요한 순간 전시 <우당탕탕 아빠가 만든 놀이터> 시즌 2 김규혁 나는 일곱 살 쌍둥이를 키우는 아빠이자 문화기획자로 다양한 어린이 문화 체험에 관심이 많다. 아이들이 지금보다 어릴 때는 하나라도 더 경험시켜주겠다고 주말마다 박물관으로 체험관으로 여기저기 다니기 바빴다. 작년부터는 공원에서만 뛰어놀아도 행복하다는 것을 깨닫고 파랑새처럼 가까운 곳에서 평화를 찾기 시작했다.…

24년 1월 현장스케치 썸네일

그림 그린 벽의 파급 효과 – <언더시티 프로젝트 : 부평에 그래피티 벽을 허하라> – 현예진

> 현장 그림 그린 벽의 파급 효과 <언더시티 프로젝트: 부평에 그래피티 벽을 허하라> 현예진 도시의 팔레트는 회색이 두드러진다. 투박한 질감의 아스팔트, 빼곡히 늘어선 빌딩, 불균질한 땅을 매끄럽게 매립한 시멘트. 심지어 사람들의 옷차림 마저 무채색 향연에 합류한다. 채도가 소거된 도시는 어딘가 고요하고, 서늘한 분위기가 부각된다. 필자의 어린 시절 기억 속 부평 역시 회색 도시의 전형이었다. 버스…

24년 1월 실무자 에세이 썸네일

모두를 위한 미술관 – 구영은

> 실무자 에세이 모두를 위한 미술관 구영은 미술관과 미술전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다. 권위적이고, 제한된 소수에게 이용되어 왔던 과거와는 달리 18세기 이후부터 공공적인 성격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미술전시 및 공간이 운영되고 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 정의하고 구분하는 등록 미술관과는 다른 형태의 미술관이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데, 지역 특성에 맞는 탄력적인 미술전시 공간들이…

24년 1월 기획1 썸네일

다시 찾아올 인천의 봄 – 미리 보는 2024 인천문화재단 – 변순영

> 기획 다시 찾아올 인천의 봄 미리 보는 2024 인천문화재단 변순영 하나둘 소소하지만 비장한 챌린지 다짐이 들려오기 시작한다. 성난 등근육 만들기, 혹은 새로운 외국어 배우기, 한 달에 몇 권 책읽기 등 늘 다짐하지만 성공한 위너는 찾기 힘든 우리들의 단골 목표들이다. 2024 새해가 시작되었다. 인천문화재단의 2024년 주요 사업들도 이미 시작점을 돌파하고 긴 레이스에 들어섰다. 인천문화재단은 올해도…

24년 1월 인터뷰 썸네일

박물관은 살아있다 – 인천시립박물관 손장원 관장을 만나다

> 인터뷰 <기획 인터뷰-유쾌한 소통 1> 인천문화통신3.0은 2020년 9월부터 지역 문화예술계 · 시민과 인천문화재단과의 소통을 위해 <유쾌한 소통>이라는 이름의 기획 인터뷰 자리를 마련하였다. 매달 2개의 인터뷰 기사를 통해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각계각층의 시민과 예술인들을 만나고 있다. 박물관은 살아있다 인천시립박물관 손장원 관장을 만나다 유사랑 손장원(孫張源) 학력 · 1982~2002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학사, 석사, 박사) 경력 · 2023.6.5.~현재 인천광역시립박물관장…

24년 1월 리뷰1 썸네일

조선의 광대 ‘달문’과 함께 춤추리 – 연극 <광대, 달문을 찾아서> – 윤진현

> 리뷰 조선의 광대 ‘달문’과 함께 춤추리 연극 <광대, 달문을 찾아서> 윤진현 <광대, 달문을 찾아서> 포스터 극단 집현의 <광대, 달문을 찾아서>를 떠올리니 얼마 전 세상을 버린 배우가 다시금 생각나 새로 가슴이 먹먹하다. 광대 ‘달문’은 우리에게는 연암 박지원의 「광문자전」의 ‘광문’이로 더 많이 알려진 조선 후기 실존인물이다. 가난한 거지였으나 어질고 지혜롭고 정직했으며 예술을 이해하고 자유로웠으며 웃음과 기쁨의…

24년 1월 예술인1 썸네일

조각가 이찬우

> 예술인 조각가 이찬우 이름: 이찬우 (李瓚雨, LEE CHAN-WOO) 출생: 1958년 분야: 조각 인천과의 관계: 40여 년간 사회활동(예술 등)하며 살아가고 있는 제2의 고향 주요학력 1979 국립충북대학교 미술과(조소전공) 졸업 1986 홍익대학교 미술교육대학원 졸업 주요경력 한국미술협회 회원, 인천미술협회 회원, 한국구상조각회 회원, 한국조각가협회 회원, 인천조각가협회 회원 2020 대한민국미술대전 조각심사위원역임 인천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조각심사위원역임 인천예술고등학교 조소전공교사13년 인하공업전문대학교 산업미술과 강사2년(2학기) 충북대학교 미술과 강사1년…

24년 1월 칼럼 썸네일

인천의 지역문화재단, 2024년에는 과거와 미래로 협력하라 – 이현식

> 칼럼 인천의 지역문화재단, 2024년에는 과거와 미래로 협력하라 이현식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문화재단이 인천에는 모두 여섯 곳이 있다. 인천광역시가 만든 인천문화재단을 비롯해서 부평구가 만든 부평구 문화재단, 서구가 만든 인천서구문화재단, 연수구가 만든 연수문화재단, 그리고 중구에서 만든 중구문화재단과 남동구가 만든 남동문화재단이 그것이다. 아직 다섯 곳의 자치단체인 강화와 옹진, 동구, 미추홀구, 계양구에는 문화재단이 없다. 행정구역 개편을 앞두고 있어서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