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7월 기획3 썸네일

헤이 AI, 영감을 부탁해 <AI와 함께하는 상상의 색채 시각예술 창작> – 민서연

> 기획 헤이 AI, 영감을 부탁해 <AI와 함께하는 상상의 색채 시각예술 창작> 민서연 우리는 누군가의 상상과 생각으로 만들어진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주어진 편리함을 누리며 살고 있기도 하고 자신이 상상하고 생각하며 발전을 시키기 위해 치열한 삶을 살기도 합니다. 생성형 AI를 처음 접했을 때 ‘와, 카메라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 이런 느낌이었을까?’, ‘또 다른 장르의 시각예술이 발전하겠구나’…

24년 7월 칼럼 썸네일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인공지능의 시대’를 꿈꾸며 – 김정배

> 칼럼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인공지능의 시대’를 꿈꾸며 김정배 프랑스의 상업 예술가 장 마르크 코테(Jean-Marc Côté)는 120년 전 20세기 말의 사회를 상상하며 재미있는 삽화 작품을 여럿 남긴다. 그가 살았던 19세기 말의 파리 사람들은 코테의 작품을 보며, 100년이 지난 2000년대에는 사람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일상을 살아가게 될지를 그림으로 상상하곤 한다.…

24년 7월 인터뷰 썸네일

“결말? 아직 몰라요” 시민들이 만드는 마을영화 – 수지바트 <우리가 만들자> – 김범수

> 인터뷰 <기획 인터뷰-유쾌한 소통> 인천문화통신3.0은 2020년 9월부터 지역 문화예술계 · 시민과 인천문화재단과의 소통을 위해 <유쾌한 소통>이라는 이름의 기획 인터뷰 자리를 마련하였다. 매달 인터뷰 기사를 통해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각계각층의 시민과 예술인들을 만나고 있다. “결말? 아직 몰라요” 시민들이 만드는 마을영화 수지바트 <우리가 만들자> 김범수 시민참여 마을영화 만들기 프로젝트 <우리가 만들자>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학산소극장을 찾았다.…

24년 7월 예술인 썸네일

선물 같은 음악을 연주해요 ‘르아또 뮤직’ – 박수현

> 예술인 선물 같은 음악을 연주해요 ‘르아또 뮤직’ 박수현 이름: 르아또뮤직(Le Arto Music) 약력 – 2024년 1월 27일 – 박겨울 ‘Love with the Wind’ 싱글 앨범 발매 – 2024년 3월 13일 안양대학교 일우 정오 음악회 도서관 연주 공연 – 2024년 5월 4일 – 시흥 배곧 한울공원 버스킹 공연 – 2024년 6월 7일 – 2024 안양중앙인정시장…

24년 7월 현장스케치 썸네일

인천국제공항에서 미디어아트 즐기는 법 – 정주희

> 현장 문화예술과 기술의 융합, 인천국제공항 미디어아트 현장을 담다 정주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문화예술과 기술(AI)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미디어아트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예술의 경계를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미디어아트는 무엇일까? 미디어아트(Media Art, 매체예술)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예술’을 의미한다. 관객의 움직임, 소리 등을 감지하여 만드는 체험형 인터랙티브, 가상공간과 실제 공간을 융합하여 만드는 가상현실(VR),…

24년 7월 실무자 썸네일

AI 시대 예술의 온기를 찾아서 with 우주작업실 – 장윤석

> 실무자 에세이 AI 시대 예술의 온기를 찾아서 with 우주작업실 장윤석 지금은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으로 내비게이션 앱을 켜 목적지로 가는 방법을 검색하지만, 어린 시절 아버지가 전국 지도를 크게 펼쳐놓고 경로를 찾던 모습이 기억납니다. 과거에 상상으로만 그렸던 미래의 모습 중 현실 속에 다가와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이와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자율…

24년 7월 리뷰1 썸네일

증강현실로 만나는 부평의 역사유산, 부평지하호 – 조건

> 리뷰 증강현실로 만나는 부평의 역사유산, 부평지하호 조건 매년 학생들과 함께 부평 함봉산 지하에 있는 역사유산을 찾는다. 부평문화원 김규혁 과장의 도움을 받아 한 걸음 한 걸음 ‘땅 속’으로 들어가다 보면 어느새 “시간이 멈춘 어떤 곳”에 도착하게 된다. 그는 땅 속 맨 끝자락에서 나지막한 목소리로 학생들의 손에 들렸던 조명을 모두 차단시킨다. 그리고 이들에게 칠흑 같은 어둠을…

24년 7월 리뷰2 썸네일

어린이 마음의 빛깔을 노래하다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특별전 <파란마음 하얀마음> – 이정연

> 리뷰 어린이 마음의 빛깔을 노래하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특별전 <파란마음 하얀마음> 이정연 누구나 어린 시절 기억 속에 엄마나 친구와 함께 불렀던 특별한 노래가 있다. 어른이 되어 그 노래를 다시 들으면, 노랫말이나 선율과 함께 그때의 추억이 떠오르곤 한다. 이처럼 동요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장르이다. 2024년은 우리나라 창작동요가 탄생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24년 7월 리뷰3 썸네일

명작이 살아 움직이는 이색 공연 <시에스타 콘서트> – 권혁성

> 리뷰 명작이 살아 움직이는 이색 공연 <시에스타 콘서트> 권혁성 시에스타란 지중해,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무더운 낮 시간대에 휴식을 갖는 시간을 의미한다. 청라블루노바홀에서도 오후 2시 휴식이 필요한 시간에 맞춰서 달콤한 휴식 같은 공연 ‘시에스타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클래식과 미디어아트의 만남이라는 다소 이색적인 장르의 공연이기도 하다. 그래픽기술과 영상기기의 발전에 힘입어 미디어아트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공연예술에서도 영상과…

24년 7월 문화예술교육현장 썸네일

거점이 무엇인지, 무엇이어야 하는지, 한번 물어봅시다 – 임재춘

> 문화예술교육 거점이 무엇인지, 무엇이어야 하는지, 한번 물어봅시다 임재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이 다년간 이뤄졌지만, 참가자 수와 같은 관료적 요구가 아니더라도, 그 성과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딱히 할 말이 없거나 뭔지 모르게 궁색하기만 하다. 특히 삶과 예술의 지속적이고 일상적인 접촉점을 촘촘하게 만들기 위한 정책적 지향을 거점이라는 개념을 통해 돌파하고자 하나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 기반은 마치 넉넉지…

24년 6월 예술인 썸네일

유대하는 생의 기록 – 김유정

> 예술인 유대하는 생의 기록 김유정 이름: 김유정 (金維政, Yujung Kim) 활동분야: 시각예술 (회화, 설치) 인천과의 관계: 인천출생, 현재 인천에 거주하면서 작업 작가정보: yujung0425@hanmail.net 주요학력 2009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미술학박사 서양화전공 졸업 2002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교육학석사 서양화전공 졸업 1997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 서양화전공 졸업 주요경력(전시 등) 주요 개인전 2024 깨어있는 사물들_Things awaken, KH필룩스 조명박물관, 양주, 한국 2023…

24년 6월 칼럼 썸네일

인천의 섬, 어디까지 가봤니 – 홍인희

> 칼럼 인천의 섬, 어디까지 가봤니 홍인희 인천문화재단은 인천시립박물관, 옹진군청과 섬 조사‧연구 및 섬마을박물관 조성(운영)에 관한 협약을 맺고 사라져가는 인천의 섬 생활 모습을 기록으로 남기고 해양문화유산을 보존하여 기억하기 위해 2021년부터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년에 1개의 섬을 선정해서 인천문화재단과 인천시립박물관이 공동으로 조사한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천문화재단에서는 인천 섬 생활사 조사보고서를 내고, 인천시립박물관은 전시회를 개최한다. 그리고 옹진군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