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6월 리뷰1 썸네일

인물 구현으로 완성한 가족극 <설아, 어디가> – 전강희

> 리뷰 인물 구현으로 완성한 가족극 <설아, 어디가> 전강희 극단 수지바트는 수집(Susib)과 아트(Art)를 합쳐서 만든 이름이다. 뮤지컬, 연극, 영화, 축제 등 장르의 경계 없이 창작 활동을 하는 이 단체는 극단의 정체성을 드러내듯 자신들의 공연명 앞에 하이브리드라는 명칭을 붙인다. <설아, 어디가?>는 수지바트의 작품답게 여러 요소들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공연이다. 어린이의 그림을 이용한 프로젝션 맵핑, 악당을 물리치는 어른들의…

24년 6월 리뷰2 썸네일

지역 청년들의 바람으로 그려가는 새로운 물결 – 아트플러그 연수 <작당모의 프로젝트> – 이재환

> 리뷰 지역 청년들의 바람으로 그려가는 새로운 물결 아트플러그 연수 <작당모의 프로젝트> 이재환 “연수구에 이런 공간이 있었어요?” <작당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청년작가들이 아트플러그 연수에 처음 발을 디딜 때 감탄하듯 말했다. 아트플러그 연수는 연수문화재단이 2021년 개관하여 현재 운영 4년 차를 맞이한 공간이다. 연수문화재단은 올해 새로운 도전을 진행했다. 지역 청년들의 열정 가득한 고민과 작당을 통해 아트플러그 연수와…

24년 6월 리뷰3 썸네일

한적한 구도심 골목에 찾아온 변화, 복합문화공간 <화안> – 박경호

> 리뷰 한적한 구도심 골목에 찾아온 변화, 복합문화공간 <화안> 박경호 인천의 유명 관광지 인천차이나타운과 송월동 동화마을 사이에도 방문객의 발길이 좀처럼 가닿지 않는 골목길이 있다. 도로명 주소로는 인천 중구 자유공원서로37번길. 주말이면 인천차이나타운과 동화마을엔 인파가 넘치지만, 이상하게도 200m가 조금 넘는 이 골목길은 한산했다. 주변 다른 골목보다 가볼 만한 장소가 적기 때문일까. 지난 3월 이 골목 마을에 예술가…

24년 5월 리뷰1 썸네일

너희들의 ‘새봄 첫걸음’을 응원해 – <인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 창단연주회> – 양지

> 리뷰 너희들의 ‘새봄 첫걸음’을 응원해 <인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 창단연주회> 양지 ©인천문화예술회관 ‘오늘은 날씨가 참 좋네~.’ 하루 일정을 마치고 ‘아트센터인천’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가벼웠다. 주차장에 도착하니 엄마 아빠와 손을 잡은 어린 꼬마 관객들과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총출동한 가족 관객들이 제일 먼저 눈에 띄었다. 공연장 로비에 도착하니 지금 막 일터에서 돌아온, 혹 늦을까 얼마나 뛰어오셨는지 땀을 흘리는 아빠를 맞이하는 가족들,…

24년 5월 리뷰2 썸네일

봄비 내린 향교에서 선현의 삶을 만나다 – 전통문화 교감 가족캠프 <인천향교, the 다가감> – 서정혜

> 리뷰 봄비 내린 향교에서 선현의 삶을 만나다 전통문화 교감 가족캠프 <인천향교, the 다가감> 서정혜 인천 미추홀학산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 <인천향교, the 다가감> 프로그램이 전통문화 교감 가족캠프를 시작으로 인천향교 인문살롱 ‘상생’ 및 달빛공감음악회와 인천향교, 미추홀 성년례까지 각 행사 일정에 맞춰 진행된다. 작년에 아이와 참가했던 <렛츠고 관아체험, 인천도호부가 살아있다!> 프로그램의 즐거웠던 경험으로, 올해는 향교…

24년 5월 리뷰3 썸네일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 <서구 드림 아카데미>

> 리뷰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 <서구 드림 아카데미> 장은영 2024년 봄, 인천 서구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 <서구 드림 아카데미 신현>이 주민들을 만날 준비를 마쳤다. 문화예술을 가까이 만나고자 하는 주민들의 염원을 담아 인천광역시 서구청과 인천서구문화재단이 함께 만든 곳이다. <서구 드림 아카데미>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향유 기회 확대와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대표 공간으로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거점’ 역할을…

24년 5월 리뷰4 썸네일

나의 자리와 나의 주위 – 전유동

> 리뷰 나의 자리와 나의 주위 전유동 2024년이 왔다고 한 해 계획을 세우던 날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4월 중순이 지나가고 있다. 새해를 맞아 인천에 있는 문화재단 두 곳의 간담회를 다녀왔다. 대중음악 싱어송라이터인 나를 포함하여 다채로운 영역에서 활동하는 음악계 예술인들을 만날 수 있었다. 지난한 예술창작의 과정을 거치며 지역에서 무언가를 일궈가는 이들을 보니 그동안 지역 주변에 관심이…

24년 4월 리뷰1 썸네일

불씨는 아직 꺼지지 않았다 – 『대장간 이야기』를 읽고 – 박경호

> 리뷰 불씨는 아직 꺼지지 않았다 『대장간 이야기』를 읽고 박경호 『대장간 이야기』(2024) 정진오 지음. 교유서가 펴냄. 296쪽. 1만8천원 경인일보 인천본사 편집국장과 인천광역시 대변인을 지낸 정진오 작가의 『대장간 이야기』(교유서가·2024)는 우리나라의 대장간을 다룬 첫 논픽션이자 인문서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지난 2021년 말 ‘서울의 대장간’을 발간하긴 했으나, ‘서울미래유산기록사업’의 조사·아카이브 결과 보고서 성격이 강해 대중을 독자로 삼진 않는다. 왜 저자는 수많은…

24년 4월 리뷰2 썸네일

인천도호부가 시끌벅적, 꼬마 백성들이 나타났다! – 학산문화원 <렛츠고 관아 체험, 인천도호부가 살아있다!> – 송은이

> 리뷰 인천도호부가 시끌벅적, 꼬마 백성들이 나타났다! 학산문화원 <렛츠고 관아 체험, 인천도호부가 살아있다!> 송은이 우리 마을에는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쉼 없이 달려온 미추홀학산문화원이 있다. 문화원은 지역주민 삶에 문화를, 역사를, 생태를 녹여 들여 나와 내 삶의 터전에 관심과 사랑을 북돋우는 여러 가지 사업을 하고 있다. 그중 하나인 <2024년 생생 국가유산 ‘비류, 문학산에 내일을 품다’>사업은 미추홀구의…

24년 4월 리뷰3 썸네일

춤의 에너지로 삶을 회복하기: 인천시립무용단 <원천> – 김재리

> 리뷰 춤의 에너지로 삶을 회복하기 인천시립무용단 <원천> 김재리 1. 잠시 멈춰 삶의 근원을 생각하기 지금 삶의 근원을 이루는 것들을 다시 생각해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세계를 구성하는 태초의 물질을 현재에 불러오는 것은 지금의 현실에서 어떤 가치가 있을까? 인천시립무용단과 부평문화재단이 공동으로 기획한 작품 <원천>은 동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삶의 근원과 생멸의 원리를 이야기하기 위해 동양…

24년 4월 리뷰4 썸네일

바다를 품은 갤러리, 소무의도 스토리움 – 김한빛

> 리뷰 바다를 품은 갤러리, 소무의도 스토리움 김한빛 타지 사람에게 인천에 거주한다고 하면 “인천공항이랑 가깝냐?”는 말 다음으로 “바다랑 가깝냐?”는 질문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사실 “아니.”라고 하면 거짓말이다. 인천 중구에 위치한 나의 근무지에서도 출·퇴근길에 가끔 뱃고동 소리가 들리고, 어쩌다 숨을 크게 들이쉬면 바다의 짭짤한 향이 콧속 가득 들어올 때도 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인천 연고의 야구단…

24년 3월 리뷰1 썸네일

도심 속 떠나는 여행 – 여행 인문학 도서관 ‘길 위의 꿈’ – 최지은

> 리뷰 도심 속 떠나는 여행 여행 인문학 도서관 ‘길 위의 꿈’ 최지은 사람을 설레게 하는 마법의 단어, ‘여행’. 우리는 계속되는 일상에서 벗어나 자유와 행복을 주는 그 시간을 좋아한다. 미추홀구 도심 속에는 누구나, 날마다 여행의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여행 인문학 도서관 – 길 위의 꿈’이다. 인천2호선 석바위시장역 1번 출구를 나오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