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트아카이브 홈페이지 (출처: 인천문화재단)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광활하게 진동할 수 있을까 – 채은영 (임시공간 대표)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광활하게 진동할 수 있을까 채은영 (임시공간 대표) 몇 년 전부터 문화도시,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공공미술,…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아카이빙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용신상회 이교자 선생님을 인터뷰하는 모습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 아카이브와 스토리텔링 – 박승영 (동인천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아카이브와 스토리텔링 박승영 (동인천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한복 자투리 천으로 만든 보자기인 조각보는 화려한 색감이나…

대구예술 시간여행 온라인 전시 홈페이지 메인 화면

연표를 통해 지역 문학을 아카이브하는 방식 – ‘대구예술 시간여행’ 프로젝트 ‘문학’ 분야의 사례 – 이선욱 (시인 / 대구문학관 상주작가)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연표를 통해 지역 문학을 아카이브하는 방식 대구예술 시간여행’ 프로젝트 ‘문학’ 분야의 사례 이선욱 (시인 / 대구문학관 상주작가)…

[사진 1] 연수구 문화지도 아카이빙 지역

마을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만드는 문화·예술, 그리고 아카이빙 – 연수문화재단 <2021년 문화마을로 지도제작기 사례>를 바탕으로 -이경민 (SNS 서울수집(@seoul_soozip) 계정운영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마을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만드는 문화·예술, 그리고 아카이빙 연수문화재단 <2021년 문화마을로 지도제작기 사례>를 바탕으로 이경민 (SNS 서울수집(@seoul_soozip)…

인천 생활문화 동아리 기획좌담회 현장 모습

인천 생활문화의 주소를 묻다 – 인천 생활문화동아리 좌담회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7월호 기획특집은 ‘코로나19 이후 생활문화 현장 흐름과 생활문화 정책 방향’을 주제로, 생활문화 현장에서 활동하는 강사들과 동아리 대표들을 만나 생활문화 동아리들의 활동에 대한 애로사항과 더불어 시민들의 생활문화 활동이 활발해지기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할지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인천…

김시범

윤석열 정부의 약속, ‘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정책 실현을 바라며 – 김시범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윤석열 정부의 약속, ‘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정책 실현을 바라며 김시범 (국립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대한민국 헌법」 제22조에는 “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와 “저작자·발명가·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라는 조항이 있다. 헌법에서 명시한 이런 권리는 저작권법(1957년 제정), 문화예술진흥법(1972년 제정), 문화산업진흥기본법(1999년 제정), 콘텐츠산업진흥법 (2002년 제정) 등의 법률로 보호되고…

장세길

새 정부 국정과제의 특징과 제언: 공정한 문화복지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 장세길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새 정부 국정과제의 특징과 제언 공정한 문화복지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장세길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연구위원) 필자가 2017년 5월 15일에 작성한 “신정부 정책방향과 전라북도 발전전략”이라는 파일을 보니 “박근혜 정부 문화·예술정책의 핵심이 생활문화이었다면 새 정부의 핵심 키워드는 예술인복지와 창작 진흥, 예술인의 사회적 권리, 청년예술인, 동네 생활문화 등”이라고 적혀…

임학순

문화예술의 가치 확장과 문화정책 융합 –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문화예술의 가치 확장과 문화정책 융합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Ⅰ. 문화정책의 가치와 실용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2022.5)가 발표한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에서 문화정책 분야의 철학은 무엇일까? “문화”, “예술”, “문화정책” 등의 용어가 국정철학, 국정목표에는 명확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윤석열 정부 문화정책 철학과 이념을…

염신규

윤석열 정부 문화정책의 전망과 제언 – 염신규 (사단법인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소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윤석열 정부 문화정책의 전망과 제언 염신규 (사단법인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소장) 새 정부가 들어서면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정책 변화에 대한 일말의 기대감을 품게 된다. 정책이란 것이 본질적인 속성상 완벽하게 옳거나 맞을 수가 없고 정권 말기가 되면 지난 정부 정책 행위에 대한 비판적 성찰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정책들이…

민경선

민선 8기 인천시 문화정책의 이슈와 제언 – 민경선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민선 8기 인천광역시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민선 8기 인천시 문화정책의 이슈와 제언 민경선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민선 8기 지방선거 공약으로 톺아본 인천시 문화정책의 이슈 2022년 7월 민선 8기의 시작을 앞두고, 이번 지방선거에서 제시된 문화 분야의 공약을 후보와 정당과 관계없이 살펴보며 문화정책의 주요 이슈를 점검하고자 한다. 선거 공약을 톺아보는 것이 중요한…

송정로

문화도시의 길, 기초자치단체의 비전에 달렸다 – 송정로 (인천in 대표이사)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민선 8기 인천광역시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문화도시의 길, 기초자치단체의 비전에 달렸다 송정로 (인천in 대표이사)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후보 “도시의 가치와 품격은 시민이 향유하는 문화예술 수준으로 좌우된다” –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보 “문화예술 산업을 경기도 발전의 동력으로 삼겠다” 앞의 말은 지난 5월 3일, 6.1지방선거를 앞두고 유정복 인천시장 후보가 ‘문화예술 분야 주요…

어린이날 100주년! 아주 특별한 2022 아시테지 in 인천 BOM나들이!

어린이날 100주년! 아주 특별한 2022 아시테지 in 인천 BOM나들이! – 김영배 (극단 자유마당 대표, 아시테지 봄나들이 in 인천 예술감독)

> 기획 어린이날 100주년! 아주 특별한 2022 아시테지 in 인천 BOM나들이! 김영배 (극단 자유마당 대표, 아시테지 BOM나들이 in 인천 예술감독) <어른들에게>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어린이에게 경어를 쓰시되 늘 부드럽게 하여 주시오. 이발이나 목욕 같은 것을 때맞춰하여 주시오. 잠자는 것과 운동하는 것을 충분히 하게 하여 주시오. 산보와 원족 같은 것을 충분히 하게 하여 주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