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호 – 인천문화재단 직원 좌담회 : 인천시민에게 사랑받는 인천문화통신을 꿈꾸며 썸네일

<인천문화통신 3.0> 100호 – 인천문화재단 직원 좌담회: 인천시민에게 사랑받는 인천문화통신을 꿈꾸며

> 기획 2022년 11월호는 <인천문화통신 3.0 100호 발간 기념 특집>으로 준비했습니다. 2007년에 1.0 버전으로 시작하여 2008년에 2.0 버전을 거쳐 2016년에 3.0 버전으로 다시 시작하기까지 그동안 걸어온 길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100호 발간을 준비하면서 그동안 재단에서 이 사업을 담당했던 직원들이 <인천문화통신 3.0>이 앞으로 발전할 방향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앞으로도 인천의 문화예술현장의 소식과 정보를 충실히…

100호 - 우리끼리만 읽는 인천문화통신 말고 썸네일

<인천문화통신 3.0> 100호 – 우리끼리만 읽는 인천문화통신 말고 – 이재은 (소설가)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 2022년 11월호는 <100호 발간 기념 특집>으로 준비했습니다. 인천문화통신은 2007년에 시작하여 2016년 3월에 3.0 버전으로 개편되었습니다. 100호 기획특집에는 2016년부터 함께 해 주신 이재은 소설가님의 원고를 통해 인천문화통신이 앞으로 발전할 방향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인천문화통신 3.0>은 인천의 문화예술현장의 소식과 정보를 시민 여러분께 전달하는 역할을 앞으로도 충실하게 수행하겠습니다. 우리끼리만 읽는 인천문화통신…

100호 - 인천이 대도시로 더 오래 생존하려면

<인천문화통신 3.0> – 인천이 대도시로 더 오래 생존하려면 – 김윤환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초빙부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 2022년 11월호는 <100호 발간 기념 특집>으로 준비했습니다. 인천문화통신은 2007년에 시작하여 2016년 3월에 3.0 버전으로 개편되었습니다. 100호 기획특집에는 2016년부터 함께 해 주신 도시연구학자 김윤환 연구위원님의 원고를 통해 인천의 도시가 변화해 나갈 방향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인천문화통신 3.0>은 인천의 문화예술현장의 소식과 정보를 시민 여러분께 전달하는 역할을 앞으로도 충실하게 수행하겠습니다. 인천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축제,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과제 썸네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축제,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과제 – 조영신 (서울시자치구문화재단연합회 사무처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축제,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과제 조영신 (서울시자치구문화재단연합회 사무처장) WHO(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노력 - 수원연극축제 사례 썸네일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노력 – 수원연극축제 – 박수정 (수원문화재단 예술창작팀 대리)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노력 수원연극축제 박수정 (수원문화재단 예술창작팀 대리) 코로나19가 발생된 후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가 썸네일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가 – 우수홍 (전 부평구축제위원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가 우수홍 (전 부평구축제위원장) 코로나19로 인해 3년…

인천축제상륙작전’ - 팬데믹 이후 쏟아진 인천 축제에 대한 단상 썸네일

‘인천축제상륙작전’ – 팬데믹 이후 쏟아진 인천 축제에 대한 단상 – 김종현 (사회적협동조합 삶은연극 이사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인천축제상륙작전’ 팬데믹 이후 쏟아진 인천 축제에 대한 단상 김종현 (사회적협동조합 삶은연극 이사장) 가을이…

문화관광축제 지원 제도 및 지역축제 개최현황 –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문화관광축제 지원 제도 및 지역축제 개최현황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1.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관광축제…

영국예술위원회에서 발간한 Environmental Programme Report

지속 가능한 환경과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 방향 – 장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 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속 가능한 환경과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 방향 장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오늘날 기후변화, 오존층…

어니스트 칼렌바크 소설 『에코토피아』

지구를 위한 목소리 – 김승현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구를 위한 목소리 김승현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지구를 걱정하는 일이 비단 환경 운동가의 일일까?…

자본주의가 바뀐다 ESG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하여 포스터

ESG 이행을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 유광민 (인천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ESG 이행을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유광민 (인천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 2020년 1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그린앤프로덕트에서 생산하는 가방과 다른 제품들의 사진

가방으로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 박은정 (사회적기업 그린앤프로덕트 대표)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가방으로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박은정 (사회적기업 그린앤프로덕트 대표) 저는 손재주가 좋은 편입니다. 어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