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축제 지원 제도 및 지역축제 개최현황 –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10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지역축제’를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멈춰있던 축제현장의 변화 움직임과 함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문화관광축제 지원 제도 및 지역축제 개최현황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1.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관광축제…

영국예술위원회에서 발간한 Environmental Programme Report

지속 가능한 환경과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 방향 – 장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 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속 가능한 환경과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 방향 장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오늘날 기후변화, 오존층…

어니스트 칼렌바크 소설 『에코토피아』

지구를 위한 목소리 – 김승현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구를 위한 목소리 김승현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지구를 걱정하는 일이 비단 환경 운동가의 일일까?…

자본주의가 바뀐다 ESG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하여 포스터

ESG 이행을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 유광민 (인천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ESG 이행을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유광민 (인천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 2020년 1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그린앤프로덕트에서 생산하는 가방과 다른 제품들의 사진

가방으로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 박은정 (사회적기업 그린앤프로덕트 대표)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가방으로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박은정 (사회적기업 그린앤프로덕트 대표) 저는 손재주가 좋은 편입니다. 어렸을…

인천아트아카이브 홈페이지 (출처: 인천문화재단)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광활하게 진동할 수 있을까 – 채은영 (임시공간 대표)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광활하게 진동할 수 있을까 채은영 (임시공간 대표) 몇 년 전부터 문화도시,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공공미술,…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아카이빙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용신상회 이교자 선생님을 인터뷰하는 모습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 아카이브와 스토리텔링 – 박승영 (동인천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동인천의 추억을 찾습니다’ 아카이브와 스토리텔링 박승영 (동인천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한복 자투리 천으로 만든 보자기인 조각보는 화려한 색감이나…

대구예술 시간여행 온라인 전시 홈페이지 메인 화면

연표를 통해 지역 문학을 아카이브하는 방식 – ‘대구예술 시간여행’ 프로젝트 ‘문학’ 분야의 사례 – 이선욱 (시인 / 대구문학관 상주작가)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연표를 통해 지역 문학을 아카이브하는 방식 대구예술 시간여행’ 프로젝트 ‘문학’ 분야의 사례 이선욱 (시인 / 대구문학관 상주작가)…

[사진 1] 연수구 문화지도 아카이빙 지역

마을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만드는 문화·예술, 그리고 아카이빙 – 연수문화재단 <2021년 문화마을로 지도제작기 사례>를 바탕으로 -이경민 (SNS 서울수집(@seoul_soozip) 계정운영자)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8월호 기획특집은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역의 문화예술현장의 활동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엇을 모으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마을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만드는 문화·예술, 그리고 아카이빙 연수문화재단 <2021년 문화마을로 지도제작기 사례>를 바탕으로 이경민 (SNS 서울수집(@seoul_soozip)…

인천 생활문화 동아리 기획좌담회 현장 모습

인천 생활문화의 주소를 묻다 – 인천 생활문화동아리 좌담회

>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7월호 기획특집은 ‘코로나19 이후 생활문화 현장 흐름과 생활문화 정책 방향’을 주제로, 생활문화 현장에서 활동하는 강사들과 동아리 대표들을 만나 생활문화 동아리들의 활동에 대한 애로사항과 더불어 시민들의 생활문화 활동이 활발해지기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할지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인천…

김시범

윤석열 정부의 약속, ‘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정책 실현을 바라며 – 김시범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윤석열 정부의 약속, ‘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정책 실현을 바라며 김시범 (국립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대한민국 헌법」 제22조에는 “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와 “저작자·발명가·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라는 조항이 있다. 헌법에서 명시한 이런 권리는 저작권법(1957년 제정), 문화예술진흥법(1972년 제정), 문화산업진흥기본법(1999년 제정), 콘텐츠산업진흥법 (2002년 제정) 등의 법률로 보호되고…

장세길

새 정부 국정과제의 특징과 제언: 공정한 문화복지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 장세길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연구위원)

> 기획 [인천문화통신 2022년 6월호 기획 – 새정부의 문화정책에 관하여] 새 정부 국정과제의 특징과 제언 공정한 문화복지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장세길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연구위원) 필자가 2017년 5월 15일에 작성한 “신정부 정책방향과 전라북도 발전전략”이라는 파일을 보니 “박근혜 정부 문화·예술정책의 핵심이 생활문화이었다면 새 정부의 핵심 키워드는 예술인복지와 창작 진흥, 예술인의 사회적 권리, 청년예술인, 동네 생활문화 등”이라고 적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