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인천문화통신 3.0은 2022년에 ‘문화도시’와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기획 연재를 진행한다.
2022년 9월호 기획특집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대응방안’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과
문화예술현장의 실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편집자 주 –

지구를 위한 목소리

김승현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지구를 걱정하는 일이 비단 환경 운동가의 일일까? 생태학자에게도, 기후학자에게도, 농부, 어부, 기업까지 모두의 일이다. 예술가에게도 물론이다. 자연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는 이들은 사실 늘 자연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먼저 지구의 아픔을 보고 있었다. 그래서 우리가 일상에서 환경의 위기를 눈치채기 전부터 그들은 지구를 건강하게 지켜내자는 메시지를 세상으로 끊임없이 내보냈다. 직접적인 쓰레기 문제, 대기 오염 문제, 기후변화 문제 등은 물론 우리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지, 미술 자체가 환경에 영향을 덜 미칠 수는 없는 지 등까지 전반에 걸쳐 글, 음악, 미술 등을 통해 계속 이야기하고 있다.

1962년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이 출판되어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고발하며 사회적 충격과 함께 ‘현재의 발전 방식이 옳은가’에 대해 묵직한 메시지를 던졌다. 1968년 아폴로 8호가 달에 착륙해 전송한 파란 지구가 달 너머로 떠오르는 사진은 그 장면을 지켜보고 있던 이들에게 ‘하나뿐인 지구’라는 큰 울림을 주었다. 1970년대 들어 그린피스를 비롯한 환경 운동가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많은 이가 환경에 대해 자기 방식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어니스트 칼렌바크도 그랬다. 미국 소설가인 그는 1975년 소설 ‘에코토피아(Ecotopia)’에서 주인공이 생태적 삶을 찾아 독립한 국가 ‘에코토피아’로 취재를 떠나면서 시작되는 이 이야기를 통해 물질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옳은가에 관해 에코토피아의 지극히 생태적인 삶을 보여줌으로써 질문을 던진다. 1975년에 쓰였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현재의 모습을 담고 있는데, 그 모습을 읽고 있자면 칼렌바크가 지금 시대를 다녀갔던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의 소설은 백만 부 이상 팔리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가 준 영감만큼 세상이 바뀌었다면 좋았겠지만 우리는 여전히 공존보다는 발전에 더 많은 지분을 주고 있다. 그 결과로 환경 문제는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우리 앞에 닥친 기후변화, 자원 고갈 문제 등으로 황폐해진 포스트 아포칼립스 상태를 다룬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발간된 김초엽 작가의 <지구 끝의 온실>, 다홍 작가의 <숲속의 담>, 웹툰으로 연재 중인 뱁새 작가의 <물위의 우리> 등을 꼽을 수 있다.

어니스트 칼렌바크 소설 『에코토피아』

어니스트 칼렌바크 소설 『에코토피아』
(사진 제공: 김승현)

김초엽 작가의 소설 『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작가의 소설 『지구 끝의 온실』
(사진 출처: 자이언트 북스)

다홍 작가의 『숲속의 담 1』

다홍 작가의 『숲속의 담 1』
(사진 출처: 에이템포미디어))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루도비코 에이나우디(Ludivico Einaudi)가 무너지는 북극 빙하의 현장에서 피아노를 연주했을 때 고요하고 나지막한 피아노 소리는 거대한 소리로 무너지는 빙하 소리와 상반되며 많은 이의 마음을 움직였다. 사람의 마음을 가장 직접적으로 건드린다는 음악을 통해 그는 지구를 사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했다. 마이클 잭슨이 의 노래와 뮤직비디오를 통해 절망에 처한 지구를 다시 살리자고 했을 때, 1992년 우리나라에서 신해철, 신승훈, 김종서 등 당시 최고 가수들이 모여 ‘내일은 늦으리’라는 불렀을 때 우리는 노래의 감동과 함께 지구에 대한 사랑을 다짐할 수 있었다. 릴 디키가 라는 곡을 전 세계 아티스트들과 함께 불렀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옥상달빛의 <빨주노초파남보>, 좋아서 하는 밴드의 <북극곰아> 등 많은 가수가 지구를 위한 노래를 통해 우리에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Ludovico Einaudi
– “Elegy for the Arctic” – Official Live (Greenpeace)

마이클 잭슨, <Earth Song>

1992년 대한민국 환경캠페인 <내일은 늦으리>

릴 디키 Lil Dicky – Earth (Official Music Video)

옥상달빛, <빨주노초파남보>

좋아서 하는 밴드, <북극곰아> 라이브 영상

이러한 움직임에서 미술도 빠지지 않는다. 19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의정서가 채택되어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공식화되었지만 대부분 사람은 그 사실을 흘려들었다. 빙하가 녹아 그들이 살던 거주지가 사라지게 될 것임에도 말이다. 하지만 이를 귀 기울여 들은 이가 있었으니, 바로 뉴욕의 환경 예술가 이브 모셔(Eve Mosher)였다. 그는 사람들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2007년 뉴욕에서 ‘만조선(High Water Line)’이라는 공공 예술 프로젝트의 첫발을 내디뎠다. 그녀는 NASA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후변화로 빙하가 녹았을 때 물이 차올라 새로운 해안선이 될 곳을 분필이 담긴 줄 긋는 수레를 끌고 70마일을 걸어 다니며 그렸다.

Eve Mosher, High Water Line in Miami

Eve Mosher, High Water Line in Miami
(출처: Eve Mosher의 Flickr 계정)

이 프로젝트는 크게 성공했다. 그녀는 뒤이어 마이애미, 펜실베니아, 런던 등에서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그녀가 기후변화에 주목했다면, 김순임 작가는 해양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직접 모은 해양 쓰레기들을 모빌처럼 천장에 매다는 설치 미술 작업을 했다. 그런가 하면 미술의 소재 자체에 주목해 자동차 배기가스로 그림을 그려 대기 오염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는 아니루드 샤르마(Anirudh Sharma)를 비롯해 이끼로 그림을 그린다든가, 버려지는 캔버스를 다시 그림의 소재로 활용하는 등 미술 자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지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김순임, 바다 무지개(Sea Rainbow 일본 규슈 아리아케해와 후쿠오카해변의 해양플라스틱, 무명실, 바늘, 단체널 영상, 바다소리, 자석, 홍티아트센터 공동작업장에 가변설치, 2020

김순임, 바다 무지개(Sea Rainbow
일본 규슈 아리아케해와 후쿠오카해변의 해양플라스틱, 무명실, 바늘, 단체널 영상, 바다소리, 자석, 홍티아트센터 공동작업장에 가변설치, 2020
(출처: 김순임 작가 홈페이지)

스페인에 남아있는 세계적인 유적, 알타미라 동굴은 생동감 있는 그림으로 만 팔천 년 전이 지난 지금도 우리에게 감동을 준다. 이 그림은 목적이 있는 그림이었다. 더 많은 사냥감을 잡길 바라는 마음이 담긴 것이었다. 지금 예술가들은 글이든 음악이든 미술이든 그들의 예술적 재능을 가지고 그 작품에 지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 지구는 우리가 살아가야 할 하나뿐인 공간이므로…

알타미라 동굴 벽화

알타미라 동굴 벽화
(출처: The Universal Story 홈페이지)

김승현

김승현 (金承賢, Kim Seunghyun)

잡지 <바질 지구생활안내서> 발행인
주식회사 윌든 대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쥬노 멸종위기동물 보드게임 기획 및 개발
바질 방구석 북토크 진행 (총 6회)
쓰줍스 캠페인 기획 및 진행 (총 14회)
인천서구문화재단 회복탄력 문화기획학교 기획 및 운영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Pos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