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인터뷰-유쾌한 소통 2>
인천문화통신3.0은 2020년 9월부터 지역 문화예술계 · 시민과 인천문화재단과의 소통을 위해 <유쾌한 소통>이라는 이름의 기획 인터뷰 자리를 마련하였다.
매달 2개의 인터뷰 기사를 통해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각계각층의 시민과 예술인들을 만나고 있다.

협업으로 만든 어린이 공연예술축제 ‘아시테지 in 인천’

심경숙 아시테지코리아 총괄 프로듀서

홍봄 (기호일보 사회부 기자)

심경숙

심경숙
2022-2023 <아시테지in인천>인천어린이를 위한 공연예술축제 총괄 PD
2022. 제7회 예술인형축제 총괄기획
2022. 전주거리인형극제 총괄PD
2022. 알마티 국립아카데미 고려극장 초청 <꿈속에선 다정하였네> 총괄 PD
2014. 신진여성문화인상 수상

구로연극협회 부지부장
(사)한국인형극협회 사무국장
좋은어린이극만들기협의회 대표

“인천을 대표하는 10개의 공공기관이 협력해 하나의 축제를 꾸린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그만큼 인천 아이들에게 좋은 공연을 선사하고 싶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볼 수 있죠. ‘아시테지 in 인천’이 인천만이 가진 공연예술축제로 자리 잡기를 바랍니다.”
2023년은 어린이 해방선언 100주년과 어린이날 101주년이다. 이를 기념해 6월 인천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공연예술축제가 열렸다. ‘인천 어린이를 위한 공연예술축제: 아시테지 BOM 나들이’다.

아시테지in인천 포스터 제공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아시테지in인천 포스터 제공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아시테지 in 인천’은 지난해 인천을 대표하는 10개 공공기관과 아시테지 코리아가 인천 지역의 어린이, 청소년 문화예술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올해는 미추홀학산문화원, 부평구문화재단, 계양구시설관리공단, 인천광역시 동구, 인천서구문화재단, 인천중구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회관, 인천문화재단까지 총 9개 기관이 참여했다.
지역과 예술계에서는 ‘아시테지 in 인천’을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협업사례로 꼽는다. 한두 개의 공공기관과 예술단체가 협업하는 일은 있지만, 10개 기관이 함께 축제를 준비하는 일은 흔치 않기 때문이다. 그만큼 이들이 손을 맞잡은 동력은 무엇인지, 어떠한 공연예술축제를 준비하고 또 지향해 나갈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아시테지 in 인천 공연이 열린 6월을 맞아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심경숙 프로듀서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심경숙

심경숙 프로듀서 ⓒ본인제공

심 프로듀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간 축제의 전반적인 부분을 관장하며 이끄는 역할을 해왔다. 축제에서 공연을 펼치는 공연단체와 아시테지코리아 사무국, 이번 축제에 참여하는 9개의 공공기관 사이의 소통을 담당한다.

그는 “인천의 여러 공공기관이 연합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 공연장의 특색에 맞게 의견을 조율해 나간다는 점에서 완벽한 협업이 아닐까 한다”며 “공연 공모부터 선정과 극장별 공연 매칭, 그리고 홍보와 공연 운영까지 축제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관과 같이 상의하면서 최고의 축제를 만들기 위해 협력한다”고 말했다.

심 프로듀서가 소속된 아시테지 코리아, 즉 (사)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는 1982년 설립해 현재 약 200여 개의 어린이청소년연극전문극단과 극작가, 평론가, 기획자, 연구자 등 단체 및 개인 회원이 참여한다.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들을 위한 공연·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으로 하는 예술단체들이 몸담고 있는 유일한 단체다. 인천과 단체의 인연은 ‘지역 영유아, 청소년에게 양질의 공연을 선보이고 싶다’는 몇몇 기관들의 고민에서 출발했다.

심 프로듀서는 “지난해 인천에서 몇 개 기관들이 모여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연을 함께 유치하자는 이야기가 나왔고 아시테지코리아로 문의가 이어졌다. 아시테지코리아가 아동·청소년 공연에서는 유일무이한 단체이기 때문에 신뢰가 있으셨던 것 같다. 화이트캣시어터컴퍼니도 아동극 제작은 물론, 여러 아동극단체의 작품을 배급하는 역할을 많이 해왔기에 이번 협업의 의미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테지 in 인천’ 공연을 무대에 올리기까지 아시테지코리아와 참여 기관들은 공연 공모부터 선정, 극장별 공연 매칭, 그리고 홍보와 공연 운영까지 축제의 전반적인 내용을 같이 상의하면서 최고의 축제를 만들기 위해 협력한다. 공연은 2~3주 동안 진행되지만, 함께 준비하고 마무리하는 기간은 5~6개월이 걸린다.

그는 “사업예산을 짤 때부터 공연히 올라가기까지 매달 전체 회의를 두세 번씩 한다. 기관 담당 실무자들과 만나는 횟수가 10번 이상이니 협업이 잘 될 수밖에 없다. 담당자들이 사업을 잘 이해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말했다.

올해는 공연 프로그램 공모를 통해 83개의 공모작 중 총 9편의 작품을 선정해 무대에 올렸다. 어린이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이끌어 내고,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일본, 미국과 같은 해외 공연팀도 초청해 축제를 국제 교류의 장으로 만들었다.

The Music Clown 공연포스터
그레고 인형 음악대 공연포스터

해외 공연팀 공연 포스터 ⓒ서구문화재단

많은 어린이들이 집과 가까운 무대에서 공연을 접할 수 있다는 점도 ‘아스테지 in 인천’의 강점이다. 계양문화회관, 남동소래아트홀, 동구문화체육센터, 부평아트센터, 인천문화예술회관, 인천서구문화회관, 가정생활문화센터, 청라블루노바홀, 트라이보울, 학산소극장, 영종역사관 영종진 야외무대까지 총 11개의 장소에서 공연을 펼쳤다.

기관들의 연대는 단순히 많은 장소에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아동·청소년에 대해 이해하고 그들의 윤택한 성장을 함께 고민해 나가는 것까지가 협업의 과제다.

심 프로듀서는 “지난해가 기관들끼리 발을 맞춰가는 시간이었다면, 올해를 비롯해 앞으로는 어린이들의 인권까지 고민을 확대했으면 한다. 극장에서도 아이들을 배려하는 시선과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달라고 이야기해 왔다. 아이들의 시선과 높이에서 바라보도록 끊임없이 배려하면서 극장의 문턱을 낮춰보자는 것도 협업의 취지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심 프로듀서는 함께 만들어 나가는 이 축제가 인천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축제가 되길 바랐다. 연속사업으로 발전해 다른 지자체까지 좋은 영향력을 미치고, 확장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과 공간별로 나뉜 공연들을 보다 끈끈하게 연결해 하나의 축제로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많은 기관이 연대하고 있지만 예산이 한정되다 보니 각각 기관에서 맡은 작품 한두 개를 알리는데 에너지를 쏟을 수밖에 없다. 광역 형태로 재원이 마련된다면 하나의 공연예술축제로 연결성 있게 알리고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2년간 축제를 열면서 인천을 알리고 접근성을 높일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내비쳤다.

무엇보다 심 프로듀서는 이 공연들을 통해 인천에서 아동 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공연문화가 활성화되기를 꿈꾼다.

심 프로듀서는 “앞으로도 공공기관과 예술단체가 협력해 좋은 예술축제를 만들어 가는 일에 동참하겠다. 그동안의 기획적인 역량을 더해 특화된 축제를 만들어 갈 예정이다. 아동, 청소년을 위한 수준 높은 작품을 제작해 보급하는 일에도 창조성을 더하겠다. 나아가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없는 특수계층이나 문화 저변에 있는 여러 공간에서의 힐링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싶다”고 말했다.

인터뷰 진행/글 홍봄 (기호일보 사회부 기자)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Pos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