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인천 서브컬처 씬에는 이날이 명절이다,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이종범 (인천 로컬 매거진 『스펙타클』 편집장)

부평에서 성장했고, 여전히 부평에 살고 있다. 어릴 적 부평역과 부평지하상가는 별천지였다. ‘세계에서 가장 큰 지하상가’라는 그곳은 코 묻은 용돈을 노리는 못된 형들과 험상궂은 업주들이 가득했지만, 그럼에도 다시 찾게 만드는 대체 불가한 마성의 공간이었다. 여전히 부평에 살지만 좀처럼 부평 지하상가에서 쇼핑을 하진 않는다. 거칠었던 시대의 잔해는 점차 사라져 지하상가에 가도 과격한 호객이나 주머니를 노리는 양아치는 쉬이 마주치기 어려워졌지만, 왜인지 부평에 대한 두근거림과 설렘 또한 동시에 느끼기가 어려워졌다.

생기를 잃어가는 듯한 이 도시에 다시 눈길을 돌리게 만든 것은 단연 ‘평리단길’이라 불리게 된 부평시장 커튼 골목에 모여든 서브컬처 팀들로부터 시작된 작은 움직임이었다. 저렴한 임대료를 찾아 이곳에 자리 잡고 시장 곳곳을 스케이트보드로 누비기 시작한 ‘라이엇 스케이트 숍(RIOT SKATE SHOP)’, 아내가 운영하는 쌀 베이킹 숍 ‘베이지’ 위층에서 전자음악을 기반으로 한 공연, 전시 등을 펼치는 ‘인 싸우전드(In Thousand)’ 김태연의 아지트, DJ이자 문화기획자로 인천을 기반으로 활동해온 DJ NUKID가 문을 연 ‘슬로스 레코드바(Sloth Record bar)’. 그리고 그들 주변으로 모여든 감각적인 식당과 카페 운영자들.

2022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포스터
2022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포스터

2022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포스터
(사진 제공: 부평구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문화도시 부평에서 이들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그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언더시티 프로젝트’를 전개하기 시작한 것은 지역에 연고를 둔 청년 기획자의 한 사람으로서도 무척 반갑고 신기한 일이었다. ‘서브컬처(Subculture)’는 그 단어 자체에 하위문화라는 의미를 함의하고 있고, 재단 지원사업을 비롯한 주류 문화계에서는 자주 소외되어온 분야였다. 그러나 그들이 분명 도시의 문화에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 오고 있음을 목격하고 있던 입장에서, 이러한 간극을 줄여주리라 기대되는 ’언더시티 프로젝트‘의 등장은 기대하지 않을 수 없었다.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 모습
(사진 제공: 부평구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지난해에는 관람객으로서 부평지하상가에서 진행되는 팝업 전시를 관람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서브컬처 브랜드의 디렉터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컨퍼런스를 들었다. 분명 팝업 전시에 많은 지역 아티스트들이 참여했고, 국내외의 서브 컬처를 둘러싼 담론들이 부평을 무대로 이야기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지만, 지역의 서브 컬처 씬의 이야기에 더욱 집중했으면 하는 갈증은 존재했다. 그런 반가움과 아쉬움이 공존하던 가운데, 이번에는 감사하게도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모더레이터로서 ‘인천의 컬처 커뮤니티 : 도시문화로서의 잠재성’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인천의 컬처 커뮤니티를 주제로 한 라운드 테이블에는 전자음악 아티스트 김태연, 슬로스 레코드바를 운영하는 DJ 한철희, 그리고 인천에 기반을 둔 그래피티 아티스트 헥스터가 참여했다. 서브 컬처 씬의 특성상 지역보다는 서울에 매력적으로 일할 기회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들 역시 필요에 따라 다른 지역에서 활동하기도 하지만, 인천에 기반을 두고 있는 데에는 이들이 인천에서 성장한 인천 출신이라는 동기가 첫 번째로 작용했다. ‘외지인들의 도시이기에 애향심을 가진 토박이가 적다’는 것이 전통적으로 인천의 지역색을 말하는 담론이지만, 이미 그런 외지인들의 자녀로 인천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MZ세대들에게만큼은 해당하지 않는 이야기였다.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라운드 테이블 진행 모습
부평 ㅇ너더시티 프로젝트 라운드 테이블 진행 모습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라운드 테이블 진행 모습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라운드 테이블 진행 모습
(첫번째 사진에서 왼쪽 첫 번째가 이종범 편집장)
(사진 제공: 부평구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이들은 저마다 ‘마계 인천’ 등 타지인들로부터 인천을 얕잡아보고 비하하는 표현을 들으며 성장했다. 누군가는 그런 인천을 함께 부끄러워하고 인천을 떠나기를 결심할 때, 그들은 오히려 ‘특색이 없는 것보다 해학적으로 재해석할 여지가 많아서 좋다’거나 ‘뒤집어 보면 재밌는 도시’라며, 오히려 서브 컬처 창작을 통해 지역의 매력을 재해석하고 드러낸다. 이들에겐 으스스한 밤거리나 스산한 공사장 역시 재미있는 문화 자원이 될 수 있다.

패널들은 아직은 작은 인천의 서브컬처 커뮤니티가 자리를 잡아갈 수 있도록 돕는 ‘언더시티 프로젝트’가 자신들에겐 ‘명절’ 같은 행사라고 말했다. 이름만 거창한 ‘네트워킹 행사’, ‘좌담회’와 달리 그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고 작업을 선보일 수 있는 ‘판’을 깔아주자 이 안에서 자연스러운 교류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작년과는 달리 행사 장소가 부평아트센터 일대로 집중되면서 컨퍼런스에 참여한 아티스트의 공연이나 작업을 야외무대에서 바로 접할 수 있었던 공간적 연속성이나, 스트리트 페어에서 지역에 기반을 둔 창작 브랜드를 전년도보다 다양하게 초청했다는 점도 인상적이었다. 전주, 부산 등 타 지역에서 방문한 관람객들마저 부평 서브 컬처 씬의 문화적 토대에 부러움과 찬사를 보냈다.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 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모습

부평언더시티 프로젝트 현장 모습
(사진 제공: 부평구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그럼에도 지금의 행사와 지역의 서브 컬처 씬에 아쉬움이 없는 것은 물론 아니다. 컨퍼런스에 참여했던 베를린 출신의 패널은 자신의 SNS에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 사진을 올리면서 장소 태그를 ‘SEOUL’로 걸고, ‘서울 근교 도시 부평의 초대를 받고 행사를 참여했다.’라는 후기를 남겼다. 행사장을 제외하고는 서울의 명소와 식당들을 방문한 사진들과 함께. 단적인 에피소드이지만 해외에서 온 관계자에게 부평의 존재감과 입지는 아직 이 정도에 불과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외지에서 ‘모셔온’ 유명 인사들 따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그들만의 리그’ 따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부평 서브 컬처 씬의 토대가 되었던 ‘평리단길’에는 이미 젠트리피케이션의 몸살이 시작되고 있다. 부평이 문화도시 사업을 진행하며 캠프 마켓 인근에서 왕성히 활동했던 라이브 클럽들로부터 ‘음악 도시 부평’의 뿌리를 찾고 있으나 지금은 찾아보기 어려운 과거의 유산이 되었듯, 지역과 공공이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토양을 지켜주지 않는다면 지금 겨우 연약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지역의 서브 컬처 커뮤니티 역시 시들어버릴 수 있다. ‘부평 언더시티 프로젝트’가 이후로도 지역 서브 컬처 씬을 지켜주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길 바란다.

이종범

이종범 (李鐘範, LEE JONG VUM)

인천 로컬 매거진 『스펙타클』 편집장. 인천을 기반으로 장르의 구분 없이 다양한 창작자와 협업하며 출판, 커뮤니티, 전시, 축제, 투어, 굿즈 등 로컬 콘텐츠를 기획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incheon_spectacle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Post comment